잘 살자/주식공부

[미국주식] 일론머스크의 스타링크 2024년 손익 추정/테슬라와 합병 가능성? 언제??

내일은 나도 주식부자 2021. 12. 2. 18:57
스타링크+기업가치에+대해2021(유진투자증권).pdf
3.57MB

2024년 예상 기업가치 : 343조원

 

장점 : 망 안깔아도 됨. 망 설치 및 유지 비용 절감

단점 : 현재까지는 망 대비 속도 떨어짐. 속도 따라잡을 수 있을 것인가?

위성 언제 다 쏘나?

만약 일론의 계획대로 된다면

스타링크 기반으로 테슬라 자율주행, 인터넷 연결 모두 실현

그런데 아직까지는 자동차에 적용할 계획 없고

선박, 비행기부터 적용할 것라고 머스크가 언급한 적 있다고 하는데...


▼스타링크=저궤도 위성통신 사업

 

저궤도 위성통신 사업은 크게 통신위성, 발사서비스, 유저안테나 그리고 게이트웨이로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지구 전역을 커버하는 위성 통신망이 갖춰질 경우,

사용자는 전세계 어디든 상관없이 안테 나만 있으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다.

기존의 지상망에서는 인터넷 서비스 지역을 넓히기 위해서

각각의 지역마다 광케이블 통신 망과 기지국, 셀타워 등

천문학적인 금액의 인프라 투자가 필요한 것과 달리,

글로벌 저궤도 위성 통신망을 구축하면 지구 전역을 커버할 수 있게 된다.

스타링크 베타테스트의 인터넷 서비스 이용료는 한 달에 99 달러이고,

서비스 이용을 위해 필요한 접시와 와이파이 라우터 등의 장비 구매 비용은 499 달러이다.


▼IPO는 언제?

인 일론 머스크는 스타링크 IPO 시점에 대해

‘합리적인 수준의 현금 창출이 기대될 때(Predict cash flow reasonably well)’라고 언급했다.

올해 하반기 본격적인 서비스가 진행될 예정이지만

인터넷 사용자 확보 속도와 유저 안테나 및 지상 게 이트웨이 설치 등의 초기 투자비용을 감안하면

스타링크의 IPO 예정 시점은 빠르면 2023 년으로 전망한다.


▼상용화 언제?

현재 궤도상에 있는 스타링크 위성이 1,700 여개임은 감안하면

2024 년까지 4,425 개(목표치)의 위성을 배치하는 것은 큰 무리가 없다고 판단한다.

현재 Phase-1 단계에서 배치가 완료된 궤도 1(1,584 개)의 위성만으로도

전세계 80% 지역에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지만

부족한 위성 수로 인한 품질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허가와 게이트웨이 건설이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2024 년을 본격적인 글로벌 서비스 시점이라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미주미에 올라온 테슬라X스타링크 합병 썰

2021년 12월로 예상하는 썰인데

위 리포트와는 차이가 있음

▼ 출처 : http:// https://cafe.naver.com/likeusstock/496386

 

▼ 테슬라 관련 내용, 중간에 스타링크 언급

https://youtu.be/ew1QfSjGH7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