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c 3

[한국주식] 2차전지 동박 3인방 투자전략 <증설과 수익성 개선> 주목하라

동박은 2차 전지 음극재의 기판 재료다. 배터리 셀 업체의 캐파 증설에 따라 시장규모가 확대될 수밖에 없다. 제조원가의 80%가 주 원재료인 구리와 전해도금 과정에 필요한 전기료다. 전해 도금이 진행된 완제품의 경우 보관 이슈로 배터리 셀 공장에 인접해서 공급해야 유리하다. 해외 증설 투자 소식이 쏟아지는 이유다. 국내 2차전지용 동박 업체로는 지난해 상반기까지만 해도 일진머티리얼즈가 유일한 상장사였다. 이후 SKC가 KCFT(이전 LS엠트론)을 인수하고, 솔루스첨단소재가 전지박(2차전지용 동박) 사업을 본격화하면서 3개사로 확대된 상황이다. 여기에 고려아연 또한 동박 자회사 케이잼을 설립하고 23년부터 양산 경쟁에 뛰어들 채비를 하고 있다. 1. 일진머티리얼즈 국내 동박 업체 중 가장 먼저 해외에 생산..

[한국주식] 내년 대박? 2차전지 동박 기업분석|SKC, 일진머터리얼즈, 솔루스첨단소재

전기차 시장이 빠르게 커지면서 배터리, 2차 전지 소재 관련주들이 받는 관심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블로그 유입 상위 키워드가 '2차 전지 동박'인 걸 보면 느낄 수 있다. 뉴스 기사도 동박 관련 기업들 투자 소식이 쏟아지고 있고. 물론 기사가 많이 나온다고 대박인 것도 아니고, 여론이나 분위기를 만들려고 보도를 의도적으로 많이 할 수도 있다는 걸 안다. 결국엔 내가 찾아보고, 가능성을 확인해야 투자할 수 있는 거니까. 그래서 틈틈이 관련 정보를 리서치하려고 한다. 전기차, 배터리는 주요 관심 산업이니까 계속 관심을 둘 수 밖에 없다. 1. 동박이란? 동박은 전기차에 쓰이는 2차 전지의 필수 재료다. 구리를 고도의 공정 기술로 얇게 만든 막이다. 배터리 음극재 소재 등으로 쓰인다. 2018년 1조 5,0..

[한국주식] 2차전지 소재 '동박' 공급부족..내년 공급률 -9.6%

테슬라도 2차전지소재 동박확보에 비상 ​ 향후 5년간 공급자 우위시장 2차전지용 동박시장 공급부족 설비·기술 장벽 높아 추격 어려워 ​ 배터리용 동박 공급률은 2021년 7%에서 2022년 -9.6%로 공급 부족이 시작되어 향후 더 커질전망이다. ​ 더 커진 내년 기대동박은 공급자 우위 시장이 최소 5년간 지속될 예정이다. ​ 하이투자증권에 따르면 2025년 전지용 동박 수요는 159만t으로, 올해보다 3.5배가량 늘어난다. ​ 국내 3사가 예정된 생산량을 채운다고 해도 전체 수요의 절반을 충족하기 어렵다는 계산이다. 물량을 앞세운 중국 업체들의 추격에 대한 우려도 사그라들고 있다. ​ 시장이 커질수록 한국 업체들의 기술적 차별화가 돋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동박은 수요처 요구에 따라 얇고, 넓고, 길게 ..